증권사 |
추천 종목 |
추천 사유 |
NH투자증권
|
삼성물산 |
삼성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위치한 사실상의 지주회사. 추가 지배구조 개편, M&A 기대. 기존 사업군의 시너지 통한 중장기 성장 기대. |
맥쿼리인프라 |
12개 인프라자산에서 안정적인 이자수입과 배당 수입. 연간 분배금 수익률이 8~13%로 형성될 전 망. |
대신증권
|
CJ대한통운 |
CJ 계열사들의 중국 시장 진출에 있어 중국 내 물류업체 M&A를 통해 교두보 역할. 수익성 낮은 자회사 매각으로 순이익 개선 중. |
현대모비스 |
중국 생산 호조와 신차 비중 증가로 핵심부품 매출 비중 증가하며 수익성 크게 개선. |
KDB대우증권
|
LG생활건강 |
중국 내수 소비 확장의 수혜주. 다수의 품목에 서 매출이 증가하는 안정적 사업 포트폴리오 보 유. |
오리온 |
중국에서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 유지. 프리미엄 급 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으로 장기 고성장 유지 가능. |
메리츠종금증권
|
한전KPS |
올해 발전 설비 용량 증대 전망. 꾸준한 실적 상승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보유. 수익의 50% 이상을 배당으로 지급해 배당주 매력 충분. |
롯데케미칼 |
석유화학에 대한 시장의 투자심리 악화로 작년 연말 주가 조정. 이로 인한 업사이드 충분. |
미래에셋증권 |
네이버 |
국내외 모바일 광고 시장 성장 수혜. 국내에서 는 TV캐스트, V, 밴드, 일본에서는 라인 타임라 인, 라인 LIVE 광고 상품 확대 전망. |
CJ E&M |
방송 및 영화 해외 공동제작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 전망. 미디어(방송) 부문 경쟁력 확보에 따른 광고 단가 인상 전망. |
삼성증권
|
삼성전자 |
미래 IT 산업 성장의 기대주. 향후 스마트카, 웨어러블 등으로 IT 기술이 주요 산업에 접목되 며 비즈니스 기회가 증가할 전망. |
한미약품 |
한국 바이오.제약 업계의 삼성전자. 장기간의 R&D 투자 성과. 성공한 파이프라인에서 유입되 는 신제품 개발의 선순환 구조 정착 전망. |
신한금융투자
|
LG화학 |
안정적 화학 실적. 중국 및 유럽 완성체 업체 납품으로 전지 부문 턴어라운드 예상. |
CJ대한통운 |
국내 택배 및 중국 룽칭물류 성장 기대. |
하나금융투자 |
LG화학 |
전세계 전기차 수요 확대를 통한 새로운 성장동 력 확보. 매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. |
포스코 |
글로벌 철강산업 구조조정에도 생존 가능성이 높은 기업. 현재 주가 저평가. |
한국투자증권 |
아모레퍼시픽 |
브랜드 제고로 안정적 시장점유율 확보. 중국인 의 소비 선호도 높은 수준 유지. |
한미약품 |
성장성 크게 부각. R&D 모멘텀 존재해 상대적으 로 상승 탄력이 강할 전망. |
현대증권
|
동아에스티 |
지속적인 비용절감, 판관비율 하락, 신제품 효 과로 성장세 지속될 전망. |
코스맥스 |
글로벌 브랜드 수주 증가로 수출 비중이 작년 18%에서 올해 20%까지 상승할 전망. |